이번 장에서 드디어 앞 장에서 설명했던 푸리에 급수를 이용해서 푸리에 변환식을 유도해 낼 것이다.
앞 장에서 푸리에 급수에 대해 알아봤다. 푸리에 급수의 복소지수 표현은 아래와 같았다.
|
앞 장에서는 기본 각속도를 그냥
비 주기 신호는 기본 각속도 및 기본 주파수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기본 각속도는, 주기를 가지는 신호의 '가장 큰 주기'에 해당하는 각속도이다. 예를 들어, 그 가장 큰 주기가 ω0 이면, 기본 주파수 T0 인 것이고, 기본 각속도 f0=1T0 이다. ω0=2πf0
위 식은 각속도
또한
|
각속도로 표현하건 주파수로 표현하건 푸리에 급수 식은 똑같다.
(여기서 주파수로 표현한 것은, 푸리에 급수를 주기성이 없는 신호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주기성이 없다는 것은 주기가 무한대라는 것이고, 주파수는
푸리에 급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
그런데, 주기가 없는 경우는 어떻게 할 것인가?
주기가 없다는 것은 주기가 무한대라는 것과 동일하다. 주기가 무한대라것은 기본 주파수가 0으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고 이 의미를 생각해보자.

위 그림을 보면, 제일 위 쪽에 주기
이제 한 주기의 신호는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한 주기 이후에 나타나는 파형을 동일하게 한다는 의미), 주기
이렇게 주기
이와 같은 개념에 따라, (식 2)와 (식 2-1)의 푸리에 급수식에서 주기를 무한대로 접근하도록 하면, 다음과 같이 비주기 신호에 대한 식이 나온다.
위 두 식이 바로 '푸리에 변환' 식이다. !!!!!
(식 3-1)을 연속 시간 푸리에 변환(Continuous-Time Fourier Transform, CTFT)라 하고, (식 3)을 연속 시간 푸리에 역변환(Inverse Continuous-Time Fourier Transform, ICTFT)라고 한다.
푸리에 급수에서 푸리에 변환으로의 수학적 유도
위 쪽에 적은 푸리에 급수식인 (식 2)와 (식 2-1)을 다시 적어 보겠다.
이 푸리에 급수 식에서 주기
위 식에서
(식 4)에서 유의할 부분은,
- 적분의 범위가
에서 로 변경되었다. 이는 원래 (식 2-1)에서 한 주기 동안의 적분이었는데, 주기가 무한대로 늘어남에 따라 변경된 것이다. - 지수승에 있는
이 로 바뀌었다. 이는 주기가 무한대로 되면서, 이산적으로 띄엄띄엄 있었던 주파수가 연속 주파수로 바뀌었기에, 모든 주파수를 나타내는 로 바뀐 것이다. 위 (그림 1)에서 주파수가 연속 주파수가 바뀌는 그림을 연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이제 이 (식 4)를 (식 2)에 넣어 보자. (식 2)의
위 식에서
이제 (식 5)에 (식 6)을 넣어서 정리해보자.
(식 7)을 보면,
- 첫 번째 변환은
안으로 지수식을 넣은 것이데, 지수식인 에는 이미 가 반영되어 있기에( 이 로 바뀌어 있다.) 안에 집어넣은 것이다. - 두 번째 변환은 시그마와 리미트 식의 순서를 바꾼 것인데, 적분을 하고 나서 더하는 거나, 더한 후 적분을 한 것이나 똑같기에, 순서를 바꿔도 무방하겠다.
(식 7)에서
여기서
(식 8)의 우측 항의 식에서
(

위 그림에서, 사각형의 가로는
이제 (식 8-1)의 정적분으로의 변형되는 원리를 이용해서 (식 8)의
여기서
이제 다 되었다. 푸리에 급수로부터 푸리에 변환식이 유도되었다.
위에서 (식 6)을 푸리에 변환이라 하고, (식 9)를 푸리에 역변환이라고 한다.
푸리에 변환식과 역변환식을 다시 적어보자.
(식 10)이 푸리에 변환이다. 원래의 신호
(식 11)은 푸리에 역변환이다. 주파수 함수 Y(f)로부터 원래의 시간영역으로의 함수
유도 과정이 끝났다. 좀, 정리해 보자.
우리의 시작은 푸리에 급수였다.
여기서 주기
푸리에 급수에 대한 식은를 먼저 적었었고, 푸리에 변환식은 를 먼저 적었다. 어느 것을 먼저 적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푸리에 급수의 경우는, 시간에 대한 값으로 표현되는 어떤 신호가 여러 주파수 신호의 합으로 표현되고(식 2), 이때 각 주파수 신호의 계수가 (식 2-1)로 계산된다는 형태의 '의식의 흐름'이 있기에에 대한 식이 먼저 나오는 것이고,
푸리에 변환의 경우는, 어떤 시간 함수가 주파수 함수로 변환될 수 있고 (식 10), 또한 이 주파수 함수를 다시 시간 함수 y(t)로 바꾸는 역변환도 가능하다는 형태의 설명이기에(식 11), 보통 이런 순서로 표현되는 것이다.
굉장히 깔끔하면서, 뭔가 대칭성도 있어 보이는 멋진 푸리에 변환/역변환 식이 유도되었다.
이 식의 의미는 다음 챕터에서 다루겠다.
-끝-
이전글: 04-6. 푸리에 급수 예제를 손으로 풀어보기 |
다음글: 05-1. 푸리에 변환식의 의미 |
다음다음글: 05-2. 한 신호를 정해서 손으로 푸리에 변환 해보기 |
'푸리에 변환, 신호 > 푸리에 변환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2. 한 신호를 정해서 손으로 푸리에 변환 해보기 (1) | 2021.03.27 |
---|---|
05-1. 푸리에 변환식의 의미 (0) | 2021.03.21 |
04-6. 푸리에 급수 예제를 손으로 풀어보기 (5) | 2021.03.21 |
04-5 푸리에 급수의 삼각함수 표현 vs. 복소지수 표현 (2) | 2021.03.14 |
04-4 푸리에 급수를 복소지수로 표현하기 (6)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