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은 04-1 ~ 04-4까지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푸리에 급수의 두 표현방법(삼각함수, 복소지수함수)을 비교하고, 그 의미를 알아볼 것이다.
앞 장까지 우리가 알아봤던 것은 크게 2가지 였다.
- 푸리에 급수의 삼각함수 표현
- 푸리에 급수의 복소 지수 표현
푸리에 급수의 삼각함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
푸리에 급수의 복소지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
푸리에 급수의 삼각함수 표현을 보면,
(식 1)은 어떤 기본 주기를 가지는 파형을 표현하는 식이다.
어떤 주기를 가진다는 것은, 어떤 주파수를 가진다는 것이고, 이 경우, 이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는 파형의 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기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그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03. 푸리에 계수에서 알아봤다.)

(식 1-1)~(식 1-3)은 (식 1)에서 사용된 계수들을 구하는 식이다.
계수들은, 원래의 파형 식인 (식 1)에 적당한 연산을 가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푸리에 급수의 사인 함수의 표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식 1) 및 (식 1-1)~(식 1-3)은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어떤 주기성을 가지는 신호 이 때 각 코사인과 사인파의 진폭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값들은, 원래의 신호에 해당 각속도 값에 해당하는 코사인 파형 혹은 사인파형을 곱하고 적분하는 연산을 통해 구할 수 있다. |
즉, 어떤 임의의 파형이 주어지면, 이 파형을 여러 주파수를 가지는 기본 파형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기본 파형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말이다.
주기(), 주파수( T ), 각속도( f )는 한 값이 주어지면 모두 변환 가능한, 서로 같은 값임에 유의하자. ω
f=1T
ω=2πf
따라서, 어떤 각속도의 정수배라는 것은, 주파수의 정수배라는 것과 동일한 말이고, ω
// nωt=n(2πf)t 에 대한 ω 배는, 주파수 n 에 대한 f 배라는 것과 동일 n
주파수의 정수배라는 것을 주기로 표현하면, 주기의 "1/정수배"라는 말과 같다. 즉, 주기가 점점 작아지는 방향으로의 배수가 된다.
nωt=n(2πf)t=n(2π1T)t
위의 삼각함수로 표현된 푸리에 급수식을 복소지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이것은 어떤 의미일까?
(식 2)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왜 그렇게 되는지 설명하겠다.
아래 그림을 보자,
복소평면에서 각도에 따른 원의 식은
또한, 원의 크기는 반지름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는데, 반지름의 크기가

여기서 원 위의 점의 속도 즉,
즉, $$원의 회전 속도까지 표현한 식이
반지름이

이제 (식 2)에 있는
원의 크기가
이제 (식 2) 전체에 대해서 해석을 해보면,
- 어떤 시간에 대한 파형
를 복소평면에서의 원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정확한 표현은, 원을 그리는 점들의 움직임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고),y(t) - 이 원들은 기본 각속도
의ω ~−∞ 까지의 정수배가 되는 원들이고,∞ - 각속도가 다른 각각의 원들의 크기는
인데, 이 값은 구하려는 원의 각속도의 음수 배의 식을 원래의 식에 곱한 후 적분을 해서 구할 수 있다.Cn
이제 삼각함수로 표현한 푸리에 급수와 복소지수로 표현한 푸리에 급수를 비교해보면,
- 삼각함수를 이용한 푸리에 급수 표현은, 파(wave)의 기본 형태를 사인함수로 여기고,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는 모든 기본파의 합으로 어떤 주어진 파를 표현한 것이고,
- 복소지수를 이용한 푸리에 급수 표현은, 파(wave)의 기본 형태를 복소평면에서의 원으로 여기고, 이 원의 기본 각속도의 정수배(양의 정수배 및 음의 정수배)가 되는 원들의 합으로 어떤 주어진 파를 표현한 것이다.
즉, 파(wave)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달라진 표현식으로, 똑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끝-
이전글: 04-4 푸리에 급수를 복소지수로 표현하기 |
다음글: 04-6. 푸리에 급수 예제를 손으로 풀어보기 |
다음다음글: 05. 푸리에 변환, 푸리에 역변환 (Fourier Transform, Inverse Fourier Transform) |
'푸리에 변환, 신호 > 푸리에 변환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푸리에 변환, 푸리에 역변환 (Fourier Transform, Inverse Fourier Transform) (6) | 2021.03.21 |
---|---|
04-6. 푸리에 급수 예제를 손으로 풀어보기 (5) | 2021.03.21 |
04-4 푸리에 급수를 복소지수로 표현하기 (6) | 2021.03.14 |
04-3. 매클로린 급수, 오일러 공식 (1) | 2021.03.12 |
04-2. 복소 지수, 자연 상수 e (6) | 2020.10.11 |